박인로의 ‘선상탄’ – 전쟁의 아픔을 담은 가사



박인로의 ‘선상탄’ – 전쟁의 아픔을 담은 가사

2017 수능특강 문학에서 소개된 박인로의 ‘선상탄’에 대해 상세하게 안내드립니다. 제가 직접 경험해본 결과, 이 작품은 박인로가 임진왜란 후 느낀 전쟁의 비애와 태평성대를 염원하는 마음을 잘 담아내고 있습니다. 이 글을 통해 ‘선상탄’의 핵심 요소와 해설, 그리고 문제풀이를 나누고자 합니다.

1. 작품 개요와 배경

박인로는 조선 중기의 시인으로, 그의 작품 ‘선상탄’은 전쟁을 다룬 가사로 매우 의미가 깊습니다. 이 작품은 다음과 같은 요소들을 가지고 있습니다.

1.1. 작품의 기본 정보

  • 지은이: 박인로(朴仁老, 1561-1642)
  • 장르: 전쟁 가사
  • 연대: 선조 38년(1605년)

위의 정보를 통해 이 작품이 임진왜란 직후의 시대적 배경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전쟁으로 인한 아픔과 슬픔을 노래하면서도, 태평성대를 간절히 바라는 마음이 담겨 있습니다.

1.2. 구성 및 형식

  • 율격: 3(4)․4조 4음보 연속체
  • 문체: 가사체, 운문체
  • 표현 기법: 인용법, 대구법, 은유법

이러한 문체와 표현 기법은 독자가 작품에 보다 쉽게 감정 이입을 하도록 도움을 줍니다.



2. 작품 내용 및 해설

‘선상탄’은 두 가지 주요 테마로 나뉩니다. 첫째는 전쟁을 통한 고통과 아픔을 표현하고, 둘째는 평화를 갈망하는 간절한 마음입니다. 아래의 현대어 풀이를 통해 내용을 조금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겠습니다.

2.1. 전쟁의 비애

작품에서는 고통받는 몸을 이끌고 전선으로 나가 전투를 준비하는 모습이 그려집니다. 시적 자아는 늙고 병든 몸에도 불구하고 자유와 평화를 위해 싸우고 싶어합니다. 현대어 풀이로 살펴보면:

  • “늙고 병든 몸을 통주사로 보내시므로, 을사년 여름에 부산진에 내려오니….”

이처럼 전쟁에 대한 회한을 드러내며, 대마도를 바라보며 병든 몸으로도 용기를 내는 장면이 담겨 있습니다.

2.2. 태평성대의 염원

작품 중강에서는 사방에 퍼진 전쟁의 위협을 느끼면서, 그 원인을 배의 존재에 비유합니다.

  • “과연 배가 생기지 않았다면 왜족이 없었겠는가?”

이렇게 전쟁의 원인과 결과를 통해 태평성대를 다시 찾고자 하는 간절한 마음이 담겨 있습니다. 이어지는 대목에서는 전쟁을 겪은 자로서의 슬픔이 간직되어 있습니다.

3. 화자의 감정과 고백

화자는 전쟁의 비애를 깊게 느끼며, 그와 같은 고통을 겪는 또한 수많은 백성들을 생각합니다. 특히 다음의 내용에서 그 감정이 잘 드러납니다.

3.1. 고백과 반성

  • “그만 두어라. 이미 지나간 일은 탓하지 않는 것이라…”

이 부분은 화자가 과거의 잘못과 비극에 대해 성찰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이는 단순히 전쟁의 패배를 기억하기보다는, 미래를 염원하는 지혜를 느끼게 합니다.

3.2. 응원의 메시지

화자는 향후 시대가 올 것임을 믿으며 순국과 충성의 마음을 전합니다:

  • “이 몸이 무상한 신자이건만…”

이와 같이 시적 자아는 자신의 운명을 넘어서서 국가를 걱정하는 마음을 전하며, 무념무상의 상태 속에서도 강한 의지를 드러냅니다.

4. 주제와 관점

‘선상탄’의 주요 주제는 전쟁의 비극적인 결과와 그 후유증을 통해 인간의 본성과 마음 속에서 어떠한 연민이 발생하는지를 보여줍니다.

4.1. 전쟁의 비극

  • 전쟁은 삶의 많은 것을 빼앗았고, 그것이 국가적 정체성과 가족의 고통으로 이어졌습니다.

4.2. 태평과 평화를 향한 열망

  • “태평천하에 요순 군민이 되야 이셔…”

이 구절은 화자가 원하는 사회와 국가의 태평성대를 표현하며 평화의 중요성을 대변합니다.

5. 문제 풀이

作品의 해설에서 파악한 내용을 바탕으로 수능 문제를 풀어보겠습니다. 다음의 문제들은 작품 분석에 관한 것입니다.

5.1. 전개 과정

  1. 이 글의 전개 과정을 바르게 말한 것은?
  2. ① 현실→상념→현실

위 문제의 정답은 1번입니다. 이처럼 작품은 현실에서 시작하여 상념으로 확장되고 다시 현실로 돌아오는 형태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5.2. 원망의 대상

  1. 화자로부터 원망의 대상이 된 인물이 아닌 것은?

이 문제에서도 작품 속 원망의 대상을 알 수 있습니다. 화자가 헌원씨와 진시황을 원망하지만, 다른 인물들은 상황에 따라 다르게 평가되기도 하겠지요.

이 외에도 다양한 문제풀이를 통해 작품의 깊이를 더할 수 있습니다.


‘선상탄’은 전쟁에 대한 깊은 통찰과 숙고로 가득 찬 작품입니다. 개인적으로, 저는 이 작품을 통해 화자의 강한 우국심과 태평성대를 갈망하는 마음을 가슴 깊이 느낄 수 있었습니다. 이러한 감정이 독자 여러분에게도 전해지길 바랍니다.

키워드: 박인로, 선상탄, 문학, 수능, 전쟁의 비애, 태평성대, 고전 가사, 작품 해설, 우국 단심, 문학교과서, 해석.

이전 글: 2024년 1월 27일, 띠별 운세로 일상에 활기를 더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