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말연초는 많은 사람들이 금연을 결심하는 시기입니다. 하지만 혼자서 금연에 도전하면 성공 확률이 낮아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를 위해 정부에서는 다양한 무료 금연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보건소 금연 서비스, 금연캠프, 찾아가는 금연지원 서비스, 병의원 금연치료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보건소 금연클리닉
서비스 개요
보건소에서는 흡연자라면 누구나 이용할 수 있는 금연클리닉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이곳에서는 금연교육, 상담, CO 또는 코티닌 측정, 금연 보조제 및 홍보물품 등을 무료로 제공합니다. 이용은 평일 오전 9시부터 오후 6시까지 가능하며, 지역 보건소에서 직접 신청할 수 있습니다.
진행 절차
보건소 금연클리닉의 진행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1. 보건소 방문 및 상담
2. CO 또는 코티닌 측정
3. 금연 교육 및 지원 자료 제공
4. 금연 보조제 지급
금연캠프 및 입원환자 대상 서비스
금연캠프
금연캠프는 4박 5일 동안 진행되는 전문적인 프로그램으로, 이후 6개월간 추가 관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지역별로 거의 매달 진행되며, 흡연자가 참여할 수 있습니다. 비용은 10만 원이며, 수료 후 인센티브가 제공됩니다.
입원환자 대상 금연지원 서비스
이 서비스는 병원에 입원한 환자들을 위한 프로그램으로, 금연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6개월간 관리합니다. 비용은 무료이며, 지역금연지원센터를 통해 신청할 수 있습니다.
| 서비스 구분 | 금연캠프 | 입원환자 대상 금연지원 서비스 |
|---|---|---|
| 대상 | 흡연자 | 금연 필요자, 만성질환자 |
| 내용 | 4박 5일 금연 프로그램 및 6개월 관리 | 병원 입원 환자 대상 금연 프로그램 |
| 제공기관 | 전국 17개 지역금연지원센터 | 지역금연지원센터 |
| 이용기간 | 센터별 일정 상이 | 연중 계속 |
| 이용금액 | 10만 원, 인센티브 제공 | 무료 |
찾아가는 금연지원 서비스
서비스 개요
이 서비스는 청소년, 여성, 장애인, 중소규모 사업장 근로자, 저소득층을 대상으로 하며, 보건소에 방문하기 어려운 분들을 위해 제공됩니다. 금연 상담과 6개월간의 금연 프로그램을 무료로 받을 수 있습니다.
대상 및 제공기관
- 청소년: 학교를 다니지 않는 청소년 단체 및 시설
- 여성: 흡연율이 높은 여성 사업장, 단체
- 장애인: 장애인 단체 및 기관
- 중소규모 사업장 근로자: 300인 미만의 사업장
- 저소득층: 수급권자 및 차상위계층
모든 서비스는 전국 17개 지역금연지원센터를 통해 이용할 수 있습니다.
병의원 금연치료
금연치료 전문 의료기관에서는 의사의 진료 상담과 함께 금연 치료에 필요한 의약품 및 니코틴 보조제 구입 비용을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3회차부터는 진료 약제비 본인부담금이 면제되며, 금연 치료 프로그램을 이수한 후에는 이전의 본인부담금도 전액 환급됩니다.
자주 묻는 질문
질문1: 금연 서비스는 누구나 이용할 수 있나요?
답변: 네, 보건소 금연클리닉과 찾아가는 금연지원 서비스는 흡연자라면 누구나 이용할 수 있습니다.
질문2: 금연캠프에 참여하려면 어떻게 신청하나요?
답변: 금연캠프는 지역금연지원센터에서 온라인으로 신청할 수 있으며, 일정은 센터에 따라 다릅니다.
질문3: 병의원 금연치료는 어떤 지원이 있나요?
답변: 병의원 금연치료에서는 의사의 상담과 함께 금연 치료에 필요한 약제비를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질문4: 금연캠프에 참여하면 어떤 프로그램이 제공되나요?
답변: 금연캠프에서는 4박 5일 동안의 의료인이 제공하는 금연 프로그램과 이후 6개월간의 관리가 포함됩니다.
질문5: 찾아가는 금연지원 서비스는 어떻게 이용하나요?
답변: 찾아가는 금연지원 서비스는 해당 대상에 해당하는 분들이 지역금연지원센터에 문의하여 신청할 수 있습니다.
질문6: 금연 치료 후 환급은 어떻게 이루어지나요?
답변: 금연 치료 프로그램을 이수한 후 신청하면 이전의 본인부담금이 전액 환급됩니다.
이전 글: 황야의 이리: 헤르만 헤세의 자아 탐구